행복과 불행을 구분하는 기준은? 만약 행복이 주관적이라면 우린 왜 타인의 불행에 관심을 가지는가? 자기의 행복을 타인의 불행에 대한 관심의 근거로 생각할 때(=나도 같은 일을 당할수 있다)와, 우리의 행복을 관심의 근거로 생각할 때(=우리 함께 행복해야한다), 각각 무엇이 어떻게 달라질까? 나는 나의 불행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의 태도가 어떠하길 원하는가?
2012.01.09. -FB
복잡합니다~ 떠오르는 질문들을 논리?크게 고려치않고 나열했어요. 행복, 불행을 정확히 구분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던 건 아니고... 인간이란 존재는 대부분이 타인의 불행에 반응하게 되는 것 같은데, 왜일까? 만약 행복이란게 변하지 않는 어떤.. 기준과 관련이 없다면(개인적인 문제이기만 하다면) 인간이 타인의 불행에 과연 그렇게 반응할 수 있는걸까? ... 뭐 이런생각에... 설명을 해도 계속 복잡한 듯 ㅎ;;;
그리고 네.. 생각해보니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든 우리의 행복을 위해서든, 타인의 불행을 줄이기 위해 행해지는 어떤 행동. 실천. 은 어떻게든 유의미할 것 같아요~ 그런데.. 왠지 후자쪽에 마음이 더 쓰이는건 왜일까..?
실천 양태의 차이가 있을 것 같다. 관망 / 개입, 순간적 / 지속적, 폐쇄 / 오픈(체계적으로 확장가능?)...등?
2012.01.09. -FB
복잡합니다~ 떠오르는 질문들을 논리?크게 고려치않고 나열했어요. 행복, 불행을 정확히 구분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던 건 아니고... 인간이란 존재는 대부분이 타인의 불행에 반응하게 되는 것 같은데, 왜일까? 만약 행복이란게 변하지 않는 어떤.. 기준과 관련이 없다면(개인적인 문제이기만 하다면) 인간이 타인의 불행에 과연 그렇게 반응할 수 있는걸까? ... 뭐 이런생각에... 설명을 해도 계속 복잡한 듯 ㅎ;;;
그리고 네.. 생각해보니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든 우리의 행복을 위해서든, 타인의 불행을 줄이기 위해 행해지는 어떤 행동. 실천. 은 어떻게든 유의미할 것 같아요~ 그런데.. 왠지 후자쪽에 마음이 더 쓰이는건 왜일까..?
실천 양태의 차이가 있을 것 같다. 관망 / 개입, 순간적 / 지속적, 폐쇄 / 오픈(체계적으로 확장가능?)...등?